조창민
진료시간 | 월 | 화 | 수 | 목 | 금 |
---|---|---|---|---|---|
오전 | ![]() |
![]() |
|||
오후 | ![]() |
이유림
진료시간 | 월 | 화 | 수 | 목 | 금 |
---|---|---|---|---|---|
오전 | ![]() |
![]() |
|||
오후 | ![]() |
![]() |
이동욱
진료시간 | 월 | 화 | 수 | 목 | 금 |
---|---|---|---|---|---|
오전 | ![]() |
![]() |
![]() |
||
오후 | ![]() |
간담도췌장암센터는 지역 최초로 간암(간세포암, 간내 담도암 등). 담도계 암. 췌장암, 그리고 팽대부 및 십이지장 암 환자에 대한 진단, 치료 및 연구를 전문으로 하고 있습니다. 센터 내 2개 진료 과(소화기내과, 외과)가 있어 진료 후 진단, 치료, 추적관리의 전 과정이 환자와 질병 중심으로 운영되고있어 각 전문가들의 협진 및 원스톱진료가 가능합니다. 연간 간 절제술 100례 이상, 췌십이지장 절제술 50례 이상, 고주파열치료 150례 이상 등의 풍부한 임상 실적은 전국 최상위권에 속하며 이러한 실적과 경험을 바탕으로 소화기내과, 외과, 영상의학과, 병리과 교수님들과 전문가들이 유기적인 협진체계를 통해 환자중심의 진료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간에 생기는 종양은 원발종양과 전이종양으로 대별할 수 있습니다. 원발종양으로는 다양한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이 있습니다. 원발성 악성종양 중 간세포암과 간내담관암의 발생 빈도가 높으며 다양한 장기의 악성종양으로부터 전이된 전이성 종양이 흔히 발견됩니다. 간종양의 외과적 치료는 원발성 간종양 및 전이성 병소에 대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며 병소의 상태(위치, 병소의 숫자, 크기), 잔존간기능, 환자의 전신상태등을 고려하여 고주파열치료(RFA), 간동맥화학색전술(TACI), 항암화학요법 등의 치료를 병행하여 간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팽대부 주위 종양은 일반적으로 악성 종양인 경우가 많지만 드물게 양성종양이나 비종양성 질환이 진단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진단을 위해 내시경역행성췌십이지장조영술(ERCP), 내시경초음파검사를 통한 세포 및 조직검사가 활용되고 있습니다. 팽대부 주위 악성 종양으로는 췌장두부암, 원위부담관암, 그리고 십이지장 팽대부암이 있으며 완치를 위해 근치적 절제술이 필요합니다. 서로 다른 질환이지만 병소의 위치적 특징으로 간외담관, 십이지장, 및 췌장두부를 절제하는 췌두부십이지장절제술을 시행합니다.
췌장의 종괴는 염증성 종괴와 비염증성 종괴로 구별할 수 있으며 비염증성 종괴는 양성, 경계성,그리고 악성 종양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양성 및 경계성 종양의 경우 복강경을 통한 췌장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악성종괴의 근치적 절제술이 필요합니다. 병소의 위치에 따라 췌두부 및 경부에 위치한 경위 췌두부십이지장 절제술을 시행하며 체부 및 미부에 위치한 경우 원위부췌장절제술을 시행합니다.
간암센터에서 2013년 7월 24일 도입한‘지방간 및 간 섬유화 스캔’은 진동자와 초음파를 이용하여 간지방증 평가와 등급을 구분하며, 정확도가 높으며, 재생 가능한 방식으로 간 섬유화를 평가할 수 있어 환자들이 불편함과 통증이 없이 지방간이나 간경변증을 진단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에 도입된‘지방간 및 간 섬유화 스캔’은 신속하게 간의 탄력도와 지방간을 측정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지방간 및 간 섬유화의 정도를 평가하는 진단방법입니다. 이러한 ‘지방간 및 간 섬유화 스캔’은 진동과 초음파를 이용한 검사이기 때문에 검사시간이 짧고, 반복적 검사등이 가능한 여러 가지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타 장기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치료 전,후의 추적관찰 등 지방간 및 간경변증의 진단, 치료에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췌담도는 복강내 중심에 위치하여 복부 초음파 검사로는 완벽한 검사가 어려운 부위로서, 내시경 선단에 초음파 탐지자가 장착된 초음파 내시경 검사는 췌담도 병변에 대한 정밀 검사로서 방사선 노출이 없는 안전한 검사 방법입니다. 또한, 조직학적 진단을 위한 세침 흡인 검사는 합병증이 거의 없는 안전한 검사로서, 췌담도암에 대한 진단 정확도는 95%로 우수한 검사 방법입니다. 또한, 초음파 내시경 유도하 세침 바늘을 이용한 다양한 치료 시술을 개발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항암치료에 국한된 췌담도암에 대한 새로운 치료 시술을 개발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췌장암에 동반되는 통증에 대한 신경총 신경 차단술을 시행하여, 환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췌담도암 환자는 대부분 진단 당시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로 폐쇄성 황달이 동반되어 담도 배액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내시경을 통한 담도 배액술은 체외로 담도 배액관을 노출시키는 불편감을 해소할 수 있어 비교적 편리한 시술 방법입니다. 대구, 경북 지역내에서 최초로 내시경 센터내에 방사선 투시실이 위치하여, 다양한 시술을 유기적으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우)41404 대구광역시 북구 호국로 807 / 807, Hoguk-ro, Buk-gu, Daegu 41404, KOREA
대표전화 : 1533-8888
Copyright (c)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HILGOK HOSPITAL.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