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종양내과 강병욱 교수 유럽암학회 (ESMO) 정식 발간 논문 (ESMO open) 종설 논문 게재 | ||
---|---|---|
|
||
칠곡경북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강병욱 교수 유럽암학회 (ESMO) 정식 발간 논문 (ESMO open) 종설 논문 게재
왼쪽부터: 칠곡경북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강병욱 교수 , Ian Chau 교수
현재 영국 런던에 위치한 세계 최초 암병원인 '로열 마스덴 병원'(Royal Marsden Hospital)에서 해외연수 중인 칠곡경북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강병욱 교수는 ‘위암에서 면역관문억제제 바이오마커의 현황과 미래 잠재력 (Current status and future potential of predictive biomarkers for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in gastric cancer)’, ‘위암에서 PI3K/AKT의 분자표적으로서의 역할 (Molecular Target: pan-AKT in Gastric Cancer)’이라는 두가지 주제로, 유럽암학회 (European Society of Medical Oncology)에서 정식 출판하는 ESMO open (Impact factor 5.329) 논문에 Ian Chau 교수와 두 편의 종설 논문을 각각 정식 게재했다. 면역관문억제제 (Immune checkpoint inhibitor)는 거의 모든 고형암에서 효과를 입증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전이성 위암에서도 3차 표준치료로 사용되고 있고 1차치료제로서 3상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 면역관문억제제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으며, 효과적인 치료 예측 바이오마커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에서 저자들은 근거 중심의 바이오마커들을 정리하여 현황 및 임상 적용의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두번째로, 종양 내 신호전달경로의 중심축으로 작용하는 PI3K/AKT는 종양 발생, 진행 및 전이에 대한 치료 타겟으로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동시에 다양한 신약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PI3K/AKT 신호전달경로가 위암에서 작용하는 역할을 분석하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초기 임상 연구들을 정리하여 신약개발을 위한 타겟으로서 임상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특히, AKT 타겟 약물의 잠재적인 부작용, 기존 치료제와의 상승효과, 저항성 등을 심층 분석하여 기초 연구자와 임상의에게 실용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로 강병욱 교수는 소화기암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으로 알려진 Ian Chau 교수 지도하에 Royal Marsden Hospital에서 해외 연수 중이다. 상기 병원은 1851년에 암 치료를 목적으로 개원한 암전문 병원으로 세계에서 처음 개원한 암센터로 알려져 있으며, 본 병원에서 중개 연구, 다학제 협진, 다국적 임상연구에 참여하고 있고, 췌장암에서 기질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기질을 표적하는 신약개발의 가능성 및 시장 동향을 분석하는 논문에 대하여 Peer review 중이며 발표 예정이다. |
(우)41404 대구광역시 북구 호국로 807 / 807, Hoguk-ro, Buk-gu, Daegu 41404, KOREA
대표전화 : 1533-8888
Copyright (c)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HILGOK HOSPITAL.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