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분비대사내과 연구팀 연구성과 미국 골대사연구분야 최고 권위지 게재 | ||
---|---|---|
|
||
내분비대사내과 연구팀 연구성과 미국 골대사연구분야 최고 권위지 게재 에스트로겐 결핍성 골다공증의 잠재적 치료 근거 마련 ▲(왼쪽부터) 이인규 교수, 전재한 교수, 김민지 교수, 이지민 박사 경북대학교병원, 칠곡경북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연구팀(교신저자: 이인규, 전재한 교수, 공동1저자: 김민지 교수, 이지민 박사)의 연구 성과가 JBMR(Journal of Bone Mineral Research)의 2021년 3월호 표지로 선정되는 쾌거를 달성했다. * 논문 링크: https://asbmr.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jbmr.4202 ▲ JBMR 2021년 3월호 논문 표지 이번에 선정된 SCI 논문은 ‘에스트로겐 결핍 쥐 모델에서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 단백질(PDK2) 억제에 의한 골다공증 예방 효과’ (PDK2 Deficiency Prevents Ovariectomy-Induced Bone Loss in Mice by Regulating the RANKL-NFATc1 Pathway During Osteoclastogenesis)라는 내용으로 2021년 3월 11일에 게재되었다. 골다공증은 주로 에스트로겐이 부족할 때 *파골세포가 과도하게 활성화되고, 이로 인한 골흡수 증가로 골밀도가 감소하여 발생한다. 이번 연구는 파골세포 분화과정 동안 *PDK2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에스트로겐 결핍을 유도하기 위해 난소절제술을 시행한 실험용 쥐에서 PDK2를 유전적으로 억제했을 때 골다공증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파골세포 : 뼈의 성장에 수반되어 불필요하게 된 뼈조직을 파괴, 흡수하는 다핵 세포 * PDK2 :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 단백질인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키네이스 연구팀은 “이번 논문은 PDK2를 억제할 수 있는 약물이 에스트로겐 결핍성 골다공증의 잠재적인 치료 근거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JBMR(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IF=5.854)은 미국 골대사학회(ASBMR)의 공식 기관지로 골대사 관련 임상의 및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신뢰하는 학술지다. |
(우)41404 대구광역시 북구 호국로 807 / 807, Hoguk-ro, Buk-gu, Daegu 41404, KOREA
대표전화 : 1533-8888
Copyright (c)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HILGOK HOSPITAL.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