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과 이윤정 교수] 척수성 근위축증 ( Spinal muscular atrophy) | ||
---|---|---|
|
||
척수성 근위축증 ( Spinal muscular atrophy) - 소아청소년과 이윤정 교수-
1)원인 가장 전형적인 척수성 근위축증은 SMN1(survival motor neuron) 유전자 결손이나 돌연변이에 의해 SMN이라는 단백질의 부족으로 발생합니다. 2) 발병률 신생아 6,000 명에서 10,000 명당 1 명정도이고 40 명당 1 명 꼴로 유전자 보인자입니다. 3) 증상 출생 전부터 청소년기, 젊은 성인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시기에 발병할 수 있는데, 척수성 근위축증 아형, 질환의 단계, 개인에 따라 증상이 다양합니다. 4) 진단 분자유전학 검사를 통하여 SMN 유전자의 돌연변이의 확인으로 진단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경전도검사(Nerve conduction studies; NCS), 근전도(EMG), 근육 생검이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5) 치료 척수성근위축증에는 근본적인 치료법이 없고 척추 측만증, 호흡 기능 부전, 적절한 영양 유지를 위해 지지요법으로 치료를 하였습니다. 최근에는 Nusinersen 이라는 치료제가 개발이 되어 국내에 도입 되어 진단 후 조기에 치료할수록 예후가 더 좋다는 것이 확인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Nusinersen 이외에도 유전자 치료제가 더 개발되고 있습니다. |
(우)41404 대구광역시 북구 호국로 807 / 807, Hoguk-ro, Buk-gu, Daegu 41404, KOREA
대표전화 : 1533-8888
Copyright (c)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HILGOK HOSPITAL. all right reserved.